Mineral 이라고 불리는 무기질은 인간에게 없어서는 안될 물질입니다. 무기질이란 탄소(C), 수소(H), 산소(O), 질소(N)을 제외한 원소 또는 화합물을 총칭하여 무기질이라 합니다. 머.. 예외도 있긴 하지만 대부분 무기질은 탄소*수소*산소*질소(흔히 과학시간에 탄수산질이라 외우죠.;;)가 없으면 무기질입니다. 대표적인게 칼슘(Ca), 인(P), 철(Fe), 아연(Zn), 나트륨(Na), 요오드(I) 등이 있습니다. 흔히 과일이나 고기나 '미네랄이 풍부해서 몸에 좋습니다'라고 하는데 '무기질이 풍부하여 몸에 이롭습니다'와도 동일한 의미입니다. 몸에 좋은 이유는 비유하자면 자동차가 있으면 기름이 유기질이라보고 자동차 부품[가령 엔진 오일]이 무기질이죠. 말하자면 기름은 연소가 끝나면 주기적으로 주유..
● 무심천 벛꽃 - 매년 피고 매년 지는 ... 무심천 충청북도 청주시를 가로질러 흐르는 하천입니다. 머.. 청주사람은 아시겠지만, 그 주위가 번화가이며, 근처에 대학교와 체육관이 있기에 사람들의 발걸음이 많은 지역이기도 합니다. 보통 4월 중순쯤이 되면 벛꽃이 피는데요. 이와 연관된 축제들이 대표적인게 진해 군항제가 있습니다. 머...따지고 보면 여러 대학교 도로 옆 나무들이 벛꽃나무가 있는곳이 많습니다. 축제하는곳에서만 벛꽃이 많이 피는건 아니죠. 하하; 청주에는 벛꽃이 많이 피는곳이라고 하면 무심천으로 가보라고 권해드리고 싶네요. 무심천 양옆의 나무들이 벛꽃나무라 벛꽃이 피는 날이면 사람들이 바글바글거립니다. ;; 그래도 밤에 다니면 사람도 적고, 벛꽃사진이 아침보다 야간에 찍은게 더 색달라보이기도..
※ 유명한 일본노래 수도없이 많습니다. 머...국내에서는 오래된 일본노래를 모르는게 당연한 일이죠. 흥미가 있는 사람만 들게되니까요. 필자는 일본노래를 많이 듣습니다. 주로 애니메이션 풍이 아닌 팝이나 재즈 이런 곡들을 듣죠. 일본에서는 노래가 좋으면 애니메이션 OP닝곡으로 삽입되는게 드문일은 아니라서[가령 원피스,블리치..등] 애니메이션이나 드라마 장르의 노래중에서 유명한 일본노래가 몇개 있습니다. 이 중 몇가지 소개드립니다. ■ 춤추는 폼포코링 [おどるポンポコリン] - B.B퀸즈[B.B 퀸즈 - 저런 복장으로 한결같이 무대에 오르신다는...;;]- 원래 이 노래는 국내에선 마츠코는 9살로 알려진 애니메이션 오프닝 곡입니다. 1986년에 연재해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던 만화였고, 애니메이션은 1990년대..
■ 사나이로 ~ 태어나서 ~ 할일도 많다만~ 군대..국방의 의무를 다하는 장병들이 있는 곳이지요. 입대할때가 엊그제 같은데 어느덧 전역일이 다가오는 장병들이 매달마다 있습니다. 전역일이 일주일 남았으땐 '아..드디어 나도 전역이 다가오는구나...' 하고 감회에 젖어들죠.;; 장병만 전역일을 기다리는건 아니지요. 바로 부모님이나 고무신을 거꾸로 신은 여자친구입니다. 전역일계산기 90% 남았을때는 '나가서 멀 하고, 어디를 놀러갈꺼다'라는 계획을 많이 세우지만 결국 행동하는건 하루정도 놀러가는거 정도죠. 필자말은 내용에 허풍이 많이 들어갔다는 말이죠. 하하;; 하여튼 전역전 기분만은 최고였던 그날이 남자들은 잊을수 없는 추억이랍니다. 반면에 얼마전 입대을 하여 기다리는 부모님 또는 여자친구가 있겠네요. "복..
■ 소니로 기변 DSLT의 성능에 대한 호기심... 필자는 캐논 카메라만 계속 사용해왔다. 얼마전에 소니 DSLT의 리뷰를 보고 한번 구매해보기로 했다. DSLR와DSLT가 차이가 있는데 카메라 전면부의 거울이 올라가냐? 안올라가냐? 이 차이이다. 사소한것 같지만 이걸로 인해 큰 차이를 보인다. 거울이 올라가면서 찍는 DSLR의 방식은 뷰파인더로 볼때 실제와 동일한 상을 볼수 있다. 이걸 광학식 뷰파인더라 부른다. 광학식 뷰파인더가 사실적으로 보이는 반면에 촬영후 사진 결과물을 봤을때는 생각한것과 많이 다르다. 이와 반대되는 방식은 전자식 뷰파인더인데 DSLT 사용에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전자식 뷰파인더란 말그대로 사실적인 상을 보는게 아니고 전자적으로 보는 개념이다. 뷰파인더에 조그마한 LCD 모니터를..
■ 콩알같이 생긴 렌즈 시그마 28-70 필자가 시그마 28-70 렌즈를 접한 이유는 단순히 호기심이였습니다. DG[풀프레임 지원]이며 28mm에 F2.8이라는 밝은 조건 때문에 얼마나 좋은지 궁금했구요. 참고로 시그마 렌즈중 가장 싼 렌즈가 이 렌즈입니다. 하지만 중고 제품이 많이 보이질 않습니다. 왜 인기가 없을까? 일단 OS나 HSM이 없고, 단순히 조리개만 좋다는 이점입니다. 전구간에서 소프트한게 있습니다. 선예도를 따지면 좋지 않겠지만 인물 촬영시 자연적으로 부드러운 효과를 줄 수 있으므로 그리 나쁜렌즈는 아닙니다. 모든 것에는 다 사용용도가 있는법이지요. 머든지 사진을 찍을려면 먼저 무엇을 찍을 것인지 화각을 얼마정도 할것인지 정해야하죠. 28-70mm 화각이면 준광각에서 준망원까지 화각이며 ..